1. 네트워크 연결 장치
Router: 3계층, 네트워크 계층, IP주소
Link-Layer Switches: 2계층, 논리주소
Hub: 1계층, 물리계층
1.1 리피터(Repeater)
- 계층 1 기능 수행(bit Level)
- 잡음, 간섭, 왜곡된 신호의 재생 및 증폭
- 물리 주소 필터링 기능 X
1.2 허브(Hub)
- 멀티 포트 리피터
: 계층 1의 기능 수행, 필터링 기능 X
- 다단 계층 네트워크 연결 가능(중복 연결 등 가능)
- 기존 버스형 이더넷을 축소시킨 형태
1.3 스위치(Switch)
- 계층 2 기능 수행
- 멀티 포트 브리지
- 스위칭 테이블(Switching Table)을 통해 링크 계층 주소 인식 및 필터링 수행
- MAC 주소 변경하지 않음 (≠ 라우터)
1.4 투명 스위치(Transparent Switch)
- 스위칭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스위치
: 지국 추가/삭제 시 자동으로 테이블 재구성
: Learning/Intelligent Switch
- 루프 문제 해결
- CSMA/CD 없이 언제든 지국 간 프레임 전송 가능
- UTP 케이블, 광 케이블 등 다양한 연결장치로 다운 링크/업링크 모두 가능
투명 스위치의 자동 학습
프레임의 송신자 주소를 통해 테이블을 생성함.
루프 문제
한 쌍의 브로드 캐스트 LAN에 두 개 이상의 스위치를 사용하면 무수한 프레임 복사본이 생성됨.
최소 비용 신장 트리(MST, Minimum cost Spanning Tree)
신장 트리: 어떤 그래프에 대해, 모든 정점이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사이클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
최소 비용 신장 트리: 신장 트리 중 가중치의 합이 최소인 트리로, 스위치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그래프의 자료 구조로 인식해 루프를 스스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으로 쓰임.
알고리즘: 크루스칼 알고리즘(Kruskal Algorithm), 프림 알고리즘(Prime Algorithm)
프림 알고리즘을 통한 신장 트리 구하기
LAN → Switch 가중치: 0
Switch → LAN 가중치: 1
1.5 라우터(Router)
- 계층 3(물리, 데이터 링크, 네트워크 계층) 연결 장비
- 독립적인 네트워크들을 연동(internetworking)
스위치와의 차이점
-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는 물리주소와 논리주소(IP 주소)를 가짐.
- 패킷 전달 시 링크 계층 주소가 변경됨.
라우터 동작
- 이더넷 헤더 제거
→ IP 주소 확인
→ 새로 생성한 이더넷 헤더 붙임
1.6 3계층 스위치(L3 Switch)
- H/W로 구현되어 라우터(S/W)와 동일한 기능 수행
- 라우팅 프로토콜은 동작 불가능
1.7 게이트웨이(Gateway)
- 라우터와 혼용되지만 더 포괄적인 개념
- OSI 상위계층까지 담당하는 변환 장비와 S/W를 모두 이르는 용어
EX) 메일 게이트웨이
: 특정 범위 내 메일 시스템에서 외부 메일과 내부 메일을 변환/연동하는 장비
2. 가상 LAN(Virtual LAN)
- 실제로는 하나의 동일한 LAN으로 연결되어 잇지만, 여러 개의 LAN인 것 처럼 구성하는 기법
: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새로 생성
: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 상에서 가상 LAN을 생성할 수도 있음
가상 LAN 장점
- 비용 및 시간 절약
- 가상 워크그룹 생성
- 보안성 확보
'STUDY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계층 IPv4주소 (0) | 2020.04.21 |
---|---|
[네트워크] 패킷 교환망 네트워크의 평가 (0) | 2020.04.20 |
댓글